2025/07/13 3

고전에서 찾은 리더십 원칙: 『서경』이 말하는 조직 경영의 중심 가치

조직을 이끄는 리더는 단지 목표를 설정하고 성과를 관리하는 관리자에 그치지 않습니다. 시대가 바뀌어도 리더의 핵심 과제는 여전히 신뢰와 가치 기반의 리더십을 구축하는 일입니다. 고대 중국의 경전 『서경(書經)』에서는 이를 "명명덕(明明德)"이라 표현하며, 리더가 반드시 자신의 본래 덕성을 밝히고 구성원들에게 모범을 보여야 한다고 강조합니다. 『서경』은 단순히 통치술이나 정치 지침서가 아닌, 지도자가 갖춰야 할 인간적 품성과 통찰을 담은 철학서입니다. 특히 “황극지중(皇極之中), 명명덕야(明明德也)”라는 구절은, 최고 리더가 갖춰야 할 중심 가치를 ‘밝은 덕’으로 규정합니다. 이 개념은 오늘날 조직 리더가 어떤 가치로 자신을 드러내고, 그것이 조직 전반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를 깊이 있게 성찰하게 합니다. ..

대학(大學)의 철학으로 배우는 임원 리더십과 자기경영 전략

조직의 리더는 단순한 의사결정자를 넘어서 구성원의 삶과 조직의 문화를 이끄는 기준점이며, 무엇보다 스스로의 태도와 판단으로 조직에 신뢰를 심는 존재입니다. 대학(大學)은 이 점에서 리더십의 본질을 꿰뚫는 철학을 제시합니다. “수신제가치국평천하(修身齊家治國平天下)”라는 말로 요약되는 대학의 정신은, 자기 수양을 바탕으로 조직과 사회를 경영한다는 원리를 담고 있습니다. 현대 비즈니스 환경에서도 이 철학은 유효합니다. 탑다운 구조보다 수평적이고 자율적인 리더십이 강조되는 시대, 임원 리더는 먼저 자기 경영을 통해 신뢰의 본보기를 보여야 합니다. 이는 단순한 업무 능력을 넘어, 자신의 감정, 가치 판단, 관계 형성 방식을 끊임없이 성찰하는 자세에서 비롯됩니다. 오늘날 많은 조직이 고성과 리더십을 추구하지만, 근..

예기의 예절 철학으로 설계하는 온보딩과 조직문화 전략

조직 내 모든 관계는 첫인상과 초기 태도에서 출발합니다. 신규 입사자가 조직에 들어와 가장 먼저 마주치는 것은 회사의 가치나 시스템이 아니라 사람과의 태도, 말투, 환대 방식입니다. 이 지점에서 『예기(禮記)』가 강조하는 예절의 의미는 단순한 인사법이나 격식을 넘어, 관계의 토대를 세우는 문화적 장치로 작동합니다. 예기는 인간관계가 무질서하지 않기 위해 반드시 ‘예’라는 체계가 필요하다고 말합니다. 조직도 마찬가지입니다. 감정과 이해관계가 얽히기 쉬운 업무 환경 속에서 예는 일종의 관계적 완충 장치이자 상호 존중을 체화하는 시스템입니다. 이는 특히 온보딩과 같은 초기 관계 형성 구간에서 핵심적으로 작용합니다. 조직의 안정감은 정서적 환대에서 비롯됩니다많은 조직이 온보딩 매뉴얼과 오리엔테이션을 통해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