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16 2

고전 인문학과 ESG: 맹자에게 배우는 지속 가능한 신뢰 경영

고전 인문학에서 사람을 중심에 두는 사유는 결코 낯설지 않습니다. 그중에서도 『맹자』는 “백성이 가장 귀하고, 그 다음이 사직이며, 군주는 가장 가볍다”(民為貴 社稷次之 君為輕)라는 문장을 통해 철저한 민본주의를 표방합니다. 이는 단지 정치의 원리가 아니라, 오늘날 기업이 이해관계자와 맺는 관계를 어떻게 설계해야 하는지를 말해주는 고전적 통찰입니다. 오늘날 비즈니스 세계에서도 ‘주주 중심’ 경영에서 ‘이해관계자 중심’ 경영으로 패러다임이 전환되고 있습니다. 고객, 직원, 협력사, 지역사회, 환경 등 기업을 둘러싼 다양한 관계자들의 이익을 균형 있게 고려하는 전략이 바로 ‘민본’의 현대적 실천입니다. 고전은 경영 전략의 윤리적 방향을 제시하는 나침반이 될 수 있습니다. 단지 도덕적 명분으로서가 아니라, 이..

고전 인문학과 CSR 전략: 정약용에게 배우는 책임 있는 조직 경영

조선 후기의 실학자 정약용(丁若鏞, 1762~1836)은 행정, 법률, 사회, 경제 전반에 걸친 방대한 저술을 남긴 고전 지성입니다. 그의 사상은 단순한 이론이 아닌, 현실 문제를 해결하려는 실용적 태도에 뿌리를 두고 있으며, 공공성을 핵심 가치로 하는 철학적 기반을 지녔습니다. 오늘날 기업들이 강조하는 CSR(기업의 사회적 책임)이나 ESG 경영의 사회(S) 요소는 정약용의 사상과 깊은 접점을 가집니다. 정약용의 저서 『목민심서』에서는 지방 행정관에게 공공성을 갖춘 통치를 요구하며, 민본(民本) 정신을 강조합니다. 이 개념은 현대 기업이 소비자, 지역 사회, 환경 등 다양한 이해관계자에게 책임 있는 태도를 갖추는 것과 궤를 같이합니다. 즉, 지속 가능한 경영의 출발점은 조직 외부를 향한 윤리적 시선에..